본문 바로가기

심리학64

통계학 흐름 및 목적 과거 통계학은 영가설 검증을 중점으로 p-value의 유의도를 검증함(p < .05). 따라서, 제 1종 오류를 줄이고, p-hacking(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유의하도록 만드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중점을 둠. ※ 1종 오류: 영가설이 참인 상황에서 영가설을 기각하는 것 ※ 영가설: 통계적 가설로 서로 차이가 없다, 예를 들어, '두 집단 간 스트레스 수준 차이가 없다'가 영가설이 됨 ※ 통계학에서는 영가설에 대해 통계검증 함. 영가설 유의도 검증은 뇌영상 데이터 분석과 같은 일부 분야에서 주요하게 사용됨. 반면, 최근 통계학에서는 통계 모형과 관련된 변인들과 각 변인들의 효과를 어떻게 추출할 것인가에 관심을 가짐. 즉, 실제 세계를 반영하는 모형을 만들고, 효과크기(설명력)을 추정하는데 중점을 둠. .. 2020. 7. 9.
PUBLICATIONS Internatinal Journals Yi, K. & Kim, C. (2020). Dissociable neural correlates of spatial attention and response inhibition in spatially driven interference. Neuroscience Letters, 731, 135111. Yi, K, Heo, J, Hong, J & Kim, C (2022). The role of the right prefrontal cortex in the retrieval of weak representations. Scientific Reports, 12, 4537. Korean Journals 이경면, 김초복(2020). 반응시간 분석으로 관찰한 실수와 착오의 행.. 2020. 6. 3.
Emotiv EEG와 E-Prime 연결하기 2017. 8. 9.
대비 검증 Syntax 반복 측정 ANOBA에서 요인 내 수준들을 비교하기 위해 contrast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에 있는 contrast 방법외 직접 contrast를 줄 수 있는 syntax가 있는데 이를 소개 하고자 한다. 2 x 3 반복측정 요인분석이 있을 때, X(C)- X(A+B)와 Y(C) - Y(A+B) 간의 상호작용을 확인하고 싶다면, X_A X_B X_C Y_A Y_B Y_C -1 -1 2 1 1 -2 이러한 contrast 값을 주면 상호작용을 볼 수 있다. SPSS 메뉴에서는 이러한 contrast 값을 줄 수 없기 때문에, Syntax를 사용해야 한다. Syntax는 다음과 같다. 2x3 요인 분석이지만, 요인 부분에는 1 6을 준다. 즉 한 요인에 6 수준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첫.. 2017. 8.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