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64 뉴로아나토미 – 2강 Neural Development (신경 발달) Neuroanatomy (신경해부학) 2강 – 신경 발달 신경 시스템의 발달은 태아 상태로부터 시작되는데, Genetically determined connectivity는 태아 상태에서 발생하는 신경 구조를 칭한다. 출생 후 우리는 다양한 경험을 하면서 이 신경 구조를 기능적으로 연결하며 재조직화하는데 이를 Experience-dependent reorganization라 부른다. 중추신경계는 Neural tube(신경관)로부터 형성되는데 신경관은 배아가 태아로 성숙하는 시기에 발달한다. 신경관은ectoderm (외배엽) 으로 불리는 신경 조직 레이어로부터 발달하며 외배엽은 mesoderm (중배엽)으로 알려진 주변 레이어로부터 신호를 받는다. Mesoderm이 신호를 보내어 ectoderm이 원주형으.. 2020. 9. 5. 뉴로아나토미 - 1강 용어정리 Neuroanatomy (신경해부학) 1강 – 용어 정리 신경해부학을 공부하기에 앞서서, 가장 먼저 해부학적 용어들을 배워야 한다. 해부학에서는 above, below, near 과 같은 단어들을 쓰지 않는다. 정확한 위치를 정확한 해부학적 용어로 표현하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 뇌는 세 개의 축으로 구성되며 이는 Left/Right, Anterior/Posterior, Superior/Inferior로 표현된다. 해부학은 동물 연구로부터 시작했기 때문에 이에 해당하는 또 다른 방식의 위치 용어가 있다. 이는 다음과 같다. Cranial = head, Rostral = beak, Caudal = tail, Dorsal = back, Ventral = belly. 이 위치들을 인간의 신경해부학으로 치환하면 .. 2020. 9. 3. 단순 회귀 모형 회귀 분석은 두 변인의 관계를 정의하기 위해 사용함. 회귀식: Y = B0 + B1*X1 + E Y: 종속변인(예측되는 변인) X: 독립변인(예측에 사용되는 변인) B1: 기울기, X의 변화에 따른 Y 값의 변화 B0: 상수 E: 잔차 회귀의 목적 1. Y와 X의 관계를 기술 2. X로부터 Y를 예측 3. Y변인에 대한 이해 하나의 결과에는 다양한 원인이 있음 예를 들어, 학점을 예측하는데 있어, SAT 점수는 좋은 지표(변인)이지만 다양한 변인들이 존재함. 따라서, 하나의 현상(결과)에 대한 데이터는 정확한 회귀선(직선)에 맞아 떨어지지 않음. 따라서, 회귀식을 따라 예측된 Y'의 점수는 B0+B1X임. 따라서, E(잔차)는 Y-(B0+B1X)가 되며, 이는 Y - Y'로 나타냄. 만약, Y'의 변락이.. 2020. 7. 12. 효과크기(Cohen's d) 코헨은 표준 통계 추정의 문제점을 제기함 - 영가설 검증은 우리에게 아주 작은 정보만 제공함. 예) 영가설을 기각하지 못하면 각 집단의 전집 차이가 없는 것으로 결론내리짐. - 영가설 검증에서 제 1종 오류를 줄이고자 하는 노력은 검증력을 낮추는 결과를 가져옴. 실제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우리가 알고 싶은 것은 단순히 영가설의 기각 여부가 아니라 얼만큼의 효과와 신뢰도가 있는지임. 따라서, 영가설 검증과 더불어 효과크기 또한 모두 고려되어야 함 통계검증에서 유의성(영가설 기각)은 표본 크게에 크게 영향 받음 따라서, 표본수가 적은 연구의 경우, 중간 정도의 효과 크기는 가진 평균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다고 판별되기도 함. 반면, 표본수가 많은 경우, 효과 크기가 작은데도 불구하고, 통계적으로 유의.. 2020. 7. 10.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