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4

뉴로아나토미 - 16강 Olfaction and Taste (후각과 미각) Neuroanatomy (신경해부학) 16강 – Olfaction and Taste (후각과 미각) 후각과 미각 네트워크의 종착점은 Orbitofrontal cortex이다. 두 감각은 기능적으로 구분하기 매우 어려우며 전체적으로 수렴적인 해부학적 경로를 지니고 있다. 후각은 냄새의 화학적인 감각이다. 7가지의 주요한 향이 있다 (Camphoric, musky, floral, minty, ethereal, pungent, putrid). 연구자에 따라 5, 6, 8개로 주장되기도 하지만 본 강의에서는 7개로 구분한다. 후각 경험은 강도에 의해 측정될 수 있으며 또한 정서와 연관되어 있다. 인간의 후각 기능은 매우 약하며 일반적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더 높은 후각 기능을 지니고 있다. 이에 대한 이유로 생각.. 2020. 10. 11.
뉴로아나토미 - 15강 Vestibular system (전정 신경계) Neuroanatomy (신경해부학) 15강 – Vestibular system (전정 신경계) Vestibular system은 우리를 외부 환경과 연결시켜주는 시스템이다. 전정 신경계는 두 개의 큰 부분으로 나뉠 수 있다. 먼저 Otolith organs (이석 기관)는 머리의 방향에 관여한다. 이 기관은 머리의 정향, 중력 등에 대한 정보를 중추신경계로 보낸다. 3개의 Semicircular canals (반고리관) 는 위치 관련 움직임에 관여하는 직교하는 동그란 관이다. 전정 기관에는 endolymphatic (림프액) 라는 액체가 차있다. Otolith organs의 Saccule (구형낭)과 Utricle (난형낭)은 머리의 기울임을 감지한다. 머리를 기울거나 몸의 위치가 변하면 Otolith.. 2020. 10. 11.
뉴로아나토미 - 14강 Auditory system (청각 시스템) Neuroanatomy (신경해부학) 14강 – Auditory system (청각 시스템) 청각 시스템의 이해는 청각 피질로 통하는 경로들의 해부학, 청각 정보처리 과정에서 각 세포핵들이 담당하는 역할의 이해 그리고 뇌에서 어떻게 소리가 부호화되는지를 이해하는 것이다. 가장 먼저 외이 (External ear) 부터 시작한다. 귀는 귓바퀴와 외이도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이도는 고막에서 끝난다. 중간 귀 (middle ear)의 첫번째 구조는 tympanic membrane (고막) 이다. 고막의 가장 주요한 감각 신경은 삼차 신경 (trigeminal nerve)이다. 중간 귀 (Middle ear)는 공기로 차있는 공간인데 이는 측두엽 뼈 안에 있는 tympanic cavity로 불린다. 또한, 중간 .. 2020. 10. 7.
뉴로아나토미 - 13강 Visual system (시각 시스템) Neuroanatomy (신경해부학) 13강 – Visual system (시각 시스템) 시각 시스템은 somatic afferent system (체감각을 받아들이는 시스템) 이다. 시각 시스템은 retina (망막), optic nerves (시신경), lateral geniculate (외측 슬상핵), optic tracts (시신경로), visual cortex (시각 피질)를 활용한다. 청각 시스템과 유사하게 시각 시스템의 다양한 레벨들은 표상을 형성하기 위한 피질로의 정보 전달을 돕는다. Retina (망막)는 photoreceptive (광수용체)의 역할을 하는데 특이하게 뒤집혀진 구조의 10개의 층으로 구성되어있다. 첫번째 레이어는 pigmented layer이며 나머지 9개의 레이어는 n.. 2020. 10. 7.
뉴로아나토미 11강 & 12강 Thalamus (시상) 뉴로아나토미 11강 & 12강 Thalamus (시상) Neuroanatomy (신경해부학) 11강 & 12강 – Thalamus (시상) 시상은 뇌간과 척수의 위에 위치하며 피질하 영역으로 양측에 대칭적으로 있다. 이 완벽한 해부학적 위치를 생각해보면 시상이 어떻게 많은 정보들을 통합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시상은 hypothalamus (시상 하부), epithalamus (시상 상부), prethalamus (시상 전부), dorsal thalamus (시상 후부) 로 이루어져 있으며 diencephalon (간뇌)의 가장 큰 부분이다. 제 3뇌실의 dorsolateral walls에서 형성되며 각 시상은 제 3 뇌실과 massa intermedia (시상 간교)로 연결되어 있.. 2020. 9. 27.
뉴로아나토미 – 10강 Reticular Formation (망양체) part 2 Neuroanatomy (신경해부학) 10강 Reticular Formation (망양체) Part 2 – Regulation 망양체의 기본적인 기능들은 Consciousnes (의식), Homeostatic regulation (항상성), Visceral reflexes (내장 반사), Motor function (운동 기능) 4가지 이다. 의식 망양체는 sleep/wake 사이클에 관여하며 피질로부터 각성 정보를 수집한다. 여러 개의 망상체의 핵이 intralaminar 핵으로 투사되어 다양한 피질 영역으로 전달되는데 이러한 섬유들이 피질의 전반적인 흥분성과 관련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3개의 주요한 경로가 있는데, 1) dorsal pathway 망양체의 중뇌 아래쪽과 뇌교 위쪽에서 시작하여 시상핵을.. 2020. 9. 21.